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화장실 셀프설비19

세면대 트랩 셀프 교체하기 화장실은 물이 자주 사용되는 공간이고 늘 습기가 있는 장소이다 보니 화장실의 일부 부속이 쉽게 부식이 되거나 노후되기도 합니다. 그중 한 가지 부품이 세면대의 트랩입니다. 세면대의 트랩은 주로 스텐 혹은 PVC 재질로 되어 있습니다. 두 가지 재질 모두 물에 강한 성분이지만 시간이 오래되면 역시 내구성이 약해지면서 부식이 되고 녹이 슬기도 합니다. 철거하고 설치하는 것은 매우 간단한 작업입니다. 중요한 점은 우리집 트랩이 어떤 형태인지를 파악하는 것입니다. 트랩의 종류에는 S트랩, P트랩, I트랩, 망치트랩 등이 있습니다. S트랩은 스텐 재질로 S모양으로 팝업에서 시작해서 바닥으로 꼽히는 트랩입니다. P트랩은 역시 스텐 재질이며 누운 P 모양으로 팝업에서 시작해서 벽으로 꼽히는 트랩입니다. I트랩은 주로.. 2021. 6. 17.
화장실 수전의 물이 잘 안나올때 셀프 설비하기 A 씨 "어느 날 갑자지 세안을 하려고 물을 틀었는데 물이 쫄쫄 나옵니다. 어제까지만 해도 콸콸 잘 나왔었습니다. 왜 이런지 잘 모르겠습니다." 우리도 어느날 갑자기 위와 같은 현상이 발생해서 당황했을 수도 있습니다. 화장실은 거의 매일 사용하는 공간이기 때문에 물이 잘 안 나온다면 정말 불편할 수 있습니다. 화장실 수전의 물이 갑자기 안 나오는 원인이 무엇이고 해결법은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참고로 화장실 수전의 물이 잘 안 나오는 원인도 주방의 수전의 물이 잘 안나오는 원인과 거의 동일합니다. 그래서 어쩌면 오늘의 포스팅이 이전의 '싱크대 물이 잘 안나와요 셀프 해결법' 포스팅의 내용과 상당히 유사할거라고 생각합니다. 화장실 수전의 물이 잘 안나오는 원인과 해결법을 살펴보겠습니다. 1. 수전 입구에.. 2021. 6. 11.
화장실 샤워건(스프레이건) 셀프 설치 방법 화장실은 물이 매우 많이 사용되는 공간이다 보니 바닥에 때가 많이 끼이기도 합니다. 집안에서 자주 청소를 해야 하는 공간 중 하나입니다. 물론 건식 화장실의 경우 바닥에 물을 거의 흘리는 경우가 없지만 대부분의 가정에서는 습식 화장실을 사용하며 정기적인 물청소가 필요합니다. 하지만 대부분 화장실 바닥 물청소를 하기 위해 샤워수전에 달린 호스를 이용해서 청소를 합니다. 물론 어떤 호스의 경우 길이가 2m가 되어 화장실 구석구석 변기 옆 부분까지 충분히 길이가 닿아 청소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많은 가정의 화장실의 샤워 수전에 달린 호스의 길이가 그렇게 길지 않습니다. 그리고 수압에 약해서 멀리까지 물이 나아가질 않습니다. 그러다 보니 화장실 구석구석까지 물청소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바가지에 물을 받아서 물을.. 2021. 6. 8.
남자 소변기 센서 셀프 교체하기 대부분의 상가나 식당에 있는 남자 화장실에는 스탠드형 소변기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예전에 설치되어있는 소변기들은 볼일을 보고난뒤 손으로 누르는 버튼형이 많았지만 요즘은 자동 감지기 센서형을 많이 선호합니다. 미관상 좋고 손으로 누르지 않아도 자동으로 감지를 해서 새척을 해주니 위생적으로도 좋기 때문입니다. 버튼형으로 되어 있는 남자 소변기를 자동센서로 교체하거나 기존의 센서가 고장이 나서 새로운 센서로 교체를 하고 싶을 때 업체를 부르면 비용이 적지 않게 지출이 되니 오늘은 셀프로 교체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소변기 자동 센서에는 2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전기석과 건전지식입니다. 전기식 센서의 경우에는 센서를 설치할 위치에 전기 배선이 설치가 되어있어야합니다. 조금 난이도가 있는 작업이라 기존에.. 2021. 6. 7.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