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방은 집 혹은 식당에서 물이 가장 많이 사용되는 공간입니다.
특히 식당의 경우 하루에도 수차례 설거지를 해야 하며 기름때가 많이 나와 온수가 없이 설거지를 하기란 결코 쉽지 않을 것입니다. 하지만 간혹 어떤 식당의 경우 온수가 설치되어 있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심지어 최근에 지어진 상가에도 그런 경우가 있어 따로 온수기를 설치해야 하는 곳도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전기 온수기를 셀프로 설치하는 방법을 알아보고자 합니다.
참고로 오늘 알려드릴 방법은 온수기에 설치될 수도 배관이 스텐으로 된 주름관이 아닌 PB에이콘 배관을 사용해서 설치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싱크대에 냉수, 온수 모두 나오게 할 수 있는 수전이 설치가 되어 있어야 합니다. 냉수만 나오는 수전이라면 온수기 설치하기 전에 수전을 먼저 교체해야 합니다. 싱크대 수전 교체 방법에 대해서는 이전 포스팅에서 자세히 다루고 있으니 참고하시 바랍니다.
먼저 준비물이 필요합니다.
1. 온수기세트(감압기도 꼭 구매해야 합니다.)
2. PB 에이콘 배관
3. PB 엘보 (필요한 개수대로 구입)
4. PB F발브 소켓 혹은 PB수전 앨보 (필요한 개수대로 구입)
5. PB M발브 소켓 4개
5. 15A 신주 속티(T자) 1개
6. 단닛쁠 1개
7. 슬리브
8. PB 에이콘 배관 커팅기
1. 온수기를 구매합니다.
온수기를 설치할 장소를 선정하고 그에 맞게 상향식과 하향식을 선택해서 온수기를 구매해야 합니다. 상향식이란 온수기가 바닥에 놓이는 것이 아닌 벽에 걸쳐서 설치가 되면서 온수기 밑면에서 수도 밸브가 설치되는 형태이며 하향식은 바닥에 놓는 형태로 온수가 윗면에서 수도 밸브가 설치되는 형태입니다.
2. 기타 부속을 구매합니다.
설치 공간, 장소에 따라 필요한 부속이 다른데 보통 바닥에 놓는 상향식의 경우 수도 배관이 온수기에서 바로 꺾여서 설치가 되고 벽에 걸쳐지는 하향식의 경우 온수기에서 일자로 내려와서 앵글밸브가 있는 곳으로 꺾이면서 설치가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우선 설치될 장소에 따라 냉수 앵글밸브에서 수도 배관이 어떻게 설치가 되면 좋을지 미리 그려보면 좋습니다. 꺾여서 설치가 되는 부분에 따라 필요한 부속을 구매를 해야 합니다. 온수기에 연결할 부속은 하향식의 경우 PB F발브 소켓이 필요하며, 상향식의 경우 PB 수전 앨보가 필요합니다. 그리고 PB 에이콘 배관이 꺾여서 설치될 부분에는 PB엘보라는 부속이 사용이 되니 꺾일 부분이 몇 군데인지를 파악을 하고 개수에 맞게 부속을 구매하면 됩니다.
3. 냉수 앵글밸브의 위치를 파악합니다.
온수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상가나 식당의 경우 싱크대 안에 있는 앵글밸브(냉수) 하나만 보일 것입니다. 이 앵글밸브에서 온수기로 물이 들어갈 급수 호스가 설치가 될 것입니다.
4. 온수기에 수도 배관을 설치합니다.
온수기의 윗면이든 바닥면이든 빨간색, 파란색의 물이 공급이 되고 출수가 되는 구멍이 보일 것입니다. 쉽게 설명드리자면 파란 부분으로 냉수가 들어가서 온수기 내에서 데워진 뒤 빨간 부분으로 온수가 나오는 원리입니다.
먼저 박스에 동봉된 은색 혹은 황색으로 된 안전밸브를 온수기의 파란색 부분에 설치합니다. 온수기의 파란색 부분의 돌출된 나사선에 테프론을 15~20바퀴를 감아준 뒤, 안전밸브를 몽키스패너를 이용해서 체결해줍니다. 그리고 동봉된 투명 호스를 밸브에 꼽아줍니다. 안전밸브에도 테프론을 감아주고 F발브 소켓 혹은 수전 앨보를 몽키스패너를 이용해서 체결해줍니다. 옆 빨간색 부분에서 똑같이 테프론을 감아주고 F발브 소켓 혹은 수전 앨보를 설치합니다.
5. 하향식의 온수기의 경우 벽에 먼저 온수기를 설치하고 상향식의 경우 싱크대 안에 자리를 잡고 놓아줍니다.
하향식의 온수기의 경우 위치를 선정한 후 타공을 해서 거치대를 설치하고 온수기를 걸어줍니다. 벽을 타공 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이전 포스팅에서 여러 차례 다뤘기 때문에 추가적인 언급은 하지 않겠습니다.
6. 냉수 PB에이콘 배관을 연결해줍니다.
공간의 잘 고려해서 커팅기를 이용해서 PB에이콘 배관을 알맞게 잘라서 온수기에 설치된 냉수(파란색) 부분의 F발브 소켓 혹은 수전 앨보에 꼽아줍니다. 여기서 주의해야 할 것은 꼽기 전에 에이콘 배관에 슬리브를 먼저 반드시 꼽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인터넷에 배관 슬리브라고 검색을 하면 어떤 제품인지 알 수 있습니다. 슬리브를 꼽은 에이콘 배관을 온수기에 설치된 F발브 소켓 혹은 수전 앨보의 플라스틱 너트를 조금만 풀어준 상태에서 꼽아주되 강하게 밀어 넣어서 두둑하는 느낌이 날 때까지 밀어줍니다. 끝까지 밀어 넣었으면 너트를 꽉 잠가줍니다. ㄱ자로 꺾여야 할 부분에서는 구매한 PB엘보를 사용하면 됩니다. 역시 배관에 먼저 슬리브를 꼽아주고 엘보의 너트를 조금 풀어준 뒤 슬리브가 꼽힌 배관을 강하게 밀어 넣어주고 너트를 꽉 잠가줍니다. 이런 식으로 PB에이콘 배관을 연결해서 앵글밸브까지 배관이 오도록 해줍니다.
앵글밸브의 밸브를 잠그고 몽키스패너를 이용해서 연결된 냉수 호스를 풀어줍니다. 그리고 구매한 단닛쁠 양쪽에 테프론을 감아주고 몽키스패너를 이용해서 15A 신주 속티 (T자)의 한 곳에 연결해 줍니다. 그리고 앵글밸브의 나사선 부분에 테프론을 감아주고 15A 신주 속티 (T자)의 다른 한 곳을 몽키스패너를 이용해서 앵글밸브에 연결합니다. 그런 다음 냉수 호스를 15A 신주 속티 (T자)의 닛쁠이 연결된 곳에 체결합니다. 그리고 15A 신주 속티 (T자)의 나머지 부분에는 PB M발브 소켓을 연결해줘야 하는데 그전에 PB M발브 소켓에 테프론을 먼저 감아준 뒤에 연결해줘야 합니다. 그리고 PB M발브 소켓의 너트를 조금 풀어준 뒤, PB에이콘 배관에 슬리브를 꼽고 소켓에 강하게 밀어 넣어준다음 너트를 꽉 조여줍니다.
여기까지 하면 앵글밸브에서 온수기 냉수 부분이 다 연결이 된 것입니다. 하지만 여기 중요한 점이 있습니다. 감압기를 설치해야 합니다. 이 부속을 설치하는 이유는 전기온수기의 높은 압력을 낮은 압력으로 감압시켜서 수압을 일정하게 조절하여 온수기의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함입니다. 이 감압기를 조금전에 설치한 앵글밸브에서 온수기 냉수로 가는 배관 중간에 설치를 해야합니다. 가장 좋은 위치는 온수기 냉수 부분으로 부터 1미터 정도 떨어져 있는 지점이면 가장 좋습니다. 하지만 이미 설치된 배관이 총길이가 1미터도 안된 다면 최대한 온수기로부터 멀리 설치해줍니다. 설치할 지점의 PB에이콘 배관을 커팅기로 키팅을 합니다. 그리고 양쪽 배관에 슬리브를 꼽아줍니다. 그리고 감압기의 양쪽에 테프론이 감긴 PB M발브 소켓을 연결해줍니다. 그리고 감압기를 자세히 보면 화살표가 보일 것입니다. 화살표 방향이 온수기로 향하는 방향이어야 합니다. 방향을 잘 잡아서 양쪽 배관을 감압기에 설치된 양쪽 PB M발브 소켓에 강하게 밀어서 체결해줍니다.
7. 온수 PB에이콘 배관을 연결합니다.
냉수배관을 연결했던 방식으로 그리고 온수기로부터 앵글밸브까지 연장해줍니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냉수 앵글밸브만 있고 온수는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온수기를 설치하는 것입니다. 온수 배관을 바로 수전의 온수 호스에 연결해주면 됩니다. 아마 이미 냉수 온수가 가능한 수전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라면 온수 앵글밸브가 없는 관계로 온수 호스를 막아 놨을 것입니다. 그래서 냉수 온수 조절이 가능한 수전이 있었어도 냉수만 나왔던 것입니다. 몽키스패너를 이용해서 온수 호스를 막았던 부속을 제거합니다. 그리고 그 자리에 테프론이 감긴 PB M발브 소켓을 연결해줍니다. 그런 다음 온수기 온수 부분에서 연장해온 PB에이콘 배관에 슬리브를 연결하고 그 소켓에 체결해 줍니다.
8. 안전 밸브에 끼워준 투명 호스는 하수구 배관에 꼽아줍니다.
여기까지 하면 모든 설치가 마무리가 된 것입니다.
이제 물을 틀면 되는데 여기 매우 중요한 점이 있습니다. 온수기의 전원을 연결하지 않은 상태 즉 온수기가 작동되지 않는 상태에서 냉수 앵글밸브의 밸브를 열어서 온수기 안에 냉수를 먼저 채워 넣어야 합니다. 그리고 수전의 온수 부분을 열어서 물이 나오는지 확인합니다. 온수기가 아직 작동이 되지 않는 상태라 찬물이 나올 것입니다. 한동안 수전의 온수를 틀어 준다음 수전을 잠그고 온수기의 전원을 연결해서 작동을 시킵니다. 약 5분~10분 정도 있으면 수전의 온수 쪽에서 온수가 나오기 시작할 것입니다.
글로 설치 방법을 알려드려서 헷갈리는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 설치방법에 대해 궁금하신 점이 있으면 언제든지 댓글로 문의를 주시기 바랍니다.
우리 동네 셀프 설비 왕이 되는 그날까지 마스터 워커가 열심히 도와드리겠습니다.
'주방 셀프설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방 타일 줄눈(메지) 셀프보수하기 (0) | 2021.06.20 |
---|---|
주방 수전 헤드 셀프 교체방법 (0) | 2021.06.14 |
붙박이장 경첩 셀프 교체 방법 (0) | 2021.06.02 |
주방 실리콘 셀프 보수하기 (0) | 2021.06.01 |
깨진 주방 타일 셀프 보수하기 (0) | 2021.05.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