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 변기에 물이 어느 정도 차있고 물을 내리면 다 빠져나갔다가 다시 그만큼의 양으로 물이 차오릅니다. 하지만 어느 날 갑자기 그만큼의 물이 차지 않고 물이 빠져나가는 구멍 근처에까지만 물이 차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문제의 원인은 변기 물탱크 내부의 부속에 문제가 있었기 때문입니다.
1. 변기의 물이 안 찰 때 원인
변기 물탱크의 덮개를 열어보면 여러가지 부속들이 보입니다. 그중에 기다란 호스 같은 부속을 쉽게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보통은 그 호스가 물탱크 정 중앙에 있는 원통 관에 꼽혀 있습니다. 변기 레버를 눌러 물을 내리면 물과 이물질들이 바닥에 있는 배관으로 다 빠져나가고 다시 물탱크에 물이 차오르는 동시에 그 호스를 통해 원통 안으로도 물이 공급되게 하는데 그 원통으로 들어가는 물이 바로 변기에 새롭게 차오는 물입니다. 그리고 물탱크의 물이 어느 정도 차서 공급이 멈추게 되면 변기에 차던 물도 멈추게 되면서 항상 그만큼의 양이 유지가 되는 것입니다.
하지만 물탱크 안의 호스가 매우 유연한 재질이 아니라 어느 정도 경도가 있는 재질이라 어느 순간 호스가 가운데 원통에서 빠져버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럴 경우에 물이 원통으로 유입이 되지 않아 변기에 물이 공급이 되질 않는 것입니다. 그래서 항상 차오르던 변기에 물이 차지 않고 구멍 근처까지만 물이 차게 됩니다. 바로 이 것이 변기에 물이 안 찰 때 원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사실 구멍 근처까지 차는 물은 레버를 눌러 물탱크 안의 물이 변기로 들어가면서 구멍으로 기존의 물을 밀어내고 남은 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2. 변기 물 안 참 셀프 해결법
변기에 물이 안 찰때 해결법은 매우 간단합니다. 물탱크 안의 원통에서 빠진 호스를 다시 원통에 꼽아주면 됩니다. 이때 주의해야 할 점은 호스가 원통 안으로 들어가게 꼽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위에서 언급한 데로 그 호스를 통해 원통 안으로 물이 유입이 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보통 원통에 꼽혀 있는 호스가 물탱크 위까지 올라오게 되는데 물탱크 덮개를 덮으면서 호스를 누르게 되면서 다시 빠지는 경우가 있으니 호스의 위치를 잘 조절해주면 문제가 쉽게 해결이 될 것입니다.
지금까지 변기에 물이 안 찰 때 원인과 해결법을 완변하게 살펴봤습니다. 비용 들이지 않고 셀프로 문제를 해결해 보시기 바랍니다.
댓글